Home [ 한자(漢字) ]

성씨정보 - 기초한자(基礎漢字)
성씨정보 - 천자문(千字文)
성씨정보 - 사자소학(四字小學)
성씨정보 - 고사성어(故事成語)
성씨정보 - 한자 숙어(熟語)
성씨정보 - 잘못읽기쉬운한자
성씨정보 - 한글 로마자 표기
성씨정보 - 전국 주소(동읍면)의 한자
플러스화일, PlusFile, 악보화일, 노트용화일 우편번호 찾기 - Postal Code Search
CL428 CD번호부전용
라벨 (스티커)


비트정보 - 라벨자료실

 

[ www.Surname.info ] 

성씨정보 홈 > 교육 & 한자 >   [ BitMall.kr/home 비트몰홈 ]  

비트몰 쇼핑몰로 이동합니다

[www.Biti.KR] 성씨정보 홈 > 교육/한자 > 고급 한자 > 예기(禮記)  



(


)

曲禮上第一

曲禮下第二

檀弓上第三

檀弓下第四

王制第五

月令第六

曾子問第七

文王世子第八

禮運第九

禮器第十

郊特生第十一

內則第十二

玉藻第十三

明堂第十四

喪服第十五

大傳第十六

少儀第十七

學記第十八

樂記第十九

雜記上第二十

雜記下第二十一

喪大記第二十二

祭法第二十三

祭義第二十四

祭統第二十五

經解第二十六

哀公問第二十七

仲尼燕居第二十八

孔子閒居第二十九

坊記第三十

中庸第三十一

表記第三十二

緇衣第三十三

奔喪第三十四

問喪第三十五

服問第三十六

間傳第三十七

三年第三十八

深衣第三十九

投壺第四十

儒行第四十一

大學第四十二

冠義第四十三

昏義第四十四

鄕飮酒義第四十五

射義第四十六

燕義第四十七

聘義第四十八

喪服四制第四十九

 

 

< 곡례 상 曲禮上 第一 >

 

001 曲禮曰,毋不敬, 儼若思, 安定辭. 安民哉!
       곡례에서 말했다.
       공경하지 않는 것이 없고, 엄숙하게 무엇을 생각하는 것처럼 하고, 말을 안정하게 하라.
       그렇게 하면 백성을 편안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002 敖不可長, 欲不可從, 志不可滿, 樂不可極.
        거만한 마음을 자라게 해서는 않되고,욕심을 마음대로 내버려 두어서는 안 된다.
        뜻은 가득차게 해서는 안되고, 즐거움을 극도에 달하게 해서는 안 된다.

003 賢者狎而敬之, 畏而愛之. 愛而知其惡, 憎而知其善. 積而能散, 安安而能遷. 臨財毋苟得, 臨難毋苟免. 得毋求勝, 分毋求多. 疑事毋質, 直而勿有.
      현명한 사람은 사이가 몹시 가까워도 공경하고, 두려워도 사랑하고, 사랑해도 그 사람의 악한 것을 알고,
      미워해도 그 사람의 착한것을 알며 재물을 쌓아도 능히 이것을 헐고, 편안한 곳을 편안히 여 기지만 능히 옮긴다.
      재물에 임해서는 구차하게 얻으려고 하지 말고, 어려운 일을 당해서는 구차하게 면하려고 하지 말라.
      싸움에는 꼭 이길것을 구하지 말고, 재물을 나누는 데에는 많이 얻으려고 하지말라.
      의심나는 일을 밝혀내려고 하지 말고, 몸을 곧게 가지고내 의견을 고집하려고 하지 말라.

004 若夫, 坐如尸, 立如齊. 禮從宜, 使從俗.
      무릇 앉는 것은 시동처럼하고 서 있는 것은 재계할 때처럼 한다.
      예의는 마땅한 바에 따르고 사신으로 나가서는 그 나라 풍속에 따른다.

005 夫禮者, 所以定親疏, 決嫌疑, 別同異, 明是非也. 禮, 不妄說人, 不辭費. 禮, 不踰節, 不侵侮, 不好狎. 修身踐言, 謂之善行. 行修言道, 禮之質也. 禮聞取於人, 不聞取人. 禮聞來學, 不聞往敎.
    무릇 예라는 것은, 친함과 서먹서먹한 것을 정하고, 싫어하는 것과 의심나는 것을 결정하며, 같음과 다른것을 분별하며, 시비를 밝히는 것이다. 예는 다른 사람에게 망령되게 설명하지 않으며 

006 道德仁義, 非禮不成, 敎訓正俗, 非禮不備. 分爭班訟, 非禮不決. 君臣上下父子兄弟, 非禮不定. 宦學事師, 非禮不親. 班朝治軍, 涖官行法, 非禮威嚴不行. 禱祠祭祀, 供給鬼神, 非禮不誠不莊. 是以君子恭敬撙節, 退讓以明禮. 鸚鵡能言, 不離飛鳥. 猩猩能言, 不離禽獸. 今人而無禮, 雖能言, 不亦禽獸之心乎? 夫唯禽獸無禮, 故父子聚麀. 是故聖人作, 爲禮以敎人. 使人以有禮, 知自別於禽獸.

007 太上貴德, 其次務施報. 禮尙往來. 往而不來, 非禮也. 來而不往, 亦非禮也. 人有禮則安, 無禮則危. 故曰, “禮者不可不學也. 夫禮者, 自卑而尊人. 雖負販者, 必有尊也, 而況富貴乎? 富貴而知好禮, 則不驕不淫. 貧賤而知好禮, 則志不懾.

008 人生十年曰幼, 學. 二十曰弱, 冠. 三十曰壯, 有室. 四十曰强, 而仕. 五十曰艾, 服官政. 六十曰耆, 指使. 七十曰老, 而傳. 八十九十曰耄, 七年曰悼, 悼與耄, 雖有罪, 不加刑焉. 百年曰期, 頣. 大夫七十而致事. 若不得謝, 則必賜之几杖, 行役以婦人. 適四方乘安車. 自稱曰老夫, 於其國則稱名. 越國而問焉, 必告之以其制.

009 謀於長者, 必操几杖以從之. 長者問, 不辭讓而對, 非禮也.

010 凡爲人子之禮, 冬溫而夏凊, 昏定而晨省, 在醜夷不爭.
    무릇 사람의 예에 있어서는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드리고 여름에는 서늘하게 해드리며, 저녁에는 잠자리를 정돈해 드리고 새벽에는 문안인사를 드리며 동류끼리 다투지 않는다. 

011 夫爲人子者, 三賜不及車馬. 故州閭鄕黨稱其孝也, 兄弟親戚稱其慈也, 僚友稱其弟也, 執友稱其仁也, 交遊稱其信也. 見父之執, 不謂之進, 不敢進, 不謂之退, 不敢退. 不問, 不敢對. 此孝子之行也.
   무릇 사람이라면 임금이 세 번 하사해도 거마는 받지 않는다. 그러한 연유로 주려향당에서 그의 효성을 칭찬하고, 형제 친척은 그의 자애로움을 칭찬하며, 동료나 벗들은 그 공손함을 칭찬하며, 집우는 그 어진것을 칭찬하며, 교우하는 사람은 그 믿음이 있는 것을 칭찬한다. 아버지의 집우를 보았을 때는 앞으로 나가라고 말하지 않으면 감히 나가지 못하고, 물러가라고 말하지 않으면 감히 물러가지 못하고, 묻지 않으면 감히 대답하지 못한다. 이것이 효자의 행동인 것이다.

012 夫爲人子者, 出必告, 反必面, 所遊必有常, 所習必有業. 恒言不稱老. 年長以倍, 則父事之, 十年以長, 則兄事之, 五年以長, 則肩隨之. 羣居五人, 則長者必異席.
   무릇 사람이라면 외출할 때는 반드시 고하고, 돌아와서는 반드시 뵙는다. 놀러 다니는 곳이 반드시 일정하고, 익히는 것은 반드시 과업이 있으며, 항상 말할 때에 자신을 늙었다고 말하지 않는다. 나이가 배가 더 많으면 아비로 섬기고 10년이 더 많으면 형으로 섬기고, 5년이 많으면 어개를 나란히 해서 따른다. 함께 있는 사람이 다섯 사람이 되면 윗 사람은 반드시 자리를 달리 한다.

013 爲人子者, 居不主奧, 坐不中席, 行不中道, 立不中門. 食饗不爲槩, 祭祀不爲尸, 聽於無聲, 視於無形. 不登高, 不臨深. 不苟訾, 不苟笑. 孝子不服闇, 不登危, 懼辱親也. 父母存, 不許友以死. 不有私財.
   무릇 사람이라면 (다른 사람의 집에서) 방의 서남쪽 구석에 자리하지 않으며, 자리의 한가운데에 앉지 않는다. 길 가운데로 가지 않으며, 문 한가운데에 서지 않는다. 잔치하는데 비용을 미리 계산하지 않으며, 제사 때에는 시동이 되지 않는다. 소리 없는 데에서 들으며, 형체 없는데에서 본다. 높은데 오르지 않고 깊은데 가지 않으며, 구차하게 남을 헐뜯지 않으며, 구차하게 웃지 않는다. 효자는 어두운 데에서 일을 하지 않으며, 위태한 곳에 오르지 않는다. 부모를 욕되게 할까 두려워 하기 때문이다. 부모가 있으면 벗에게 죽음을 허락하지 않고, 사사로이 재물을 갖지 않는다.

014 爲人子者, 父母存, 冠衣不純素. 孤子當室, 冠衣不純采.
사람이라면, 부모가 있으면 갓과 옷을 희게 하지 않는다. 孤子로서 아버지의 뒤를 계승하는 자는 갓과 옷에 채색을 하지 않는다.

어린아이에게는 항상 속이지 않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동자는 갖옷과 치마를 입지 않는다. 서있을 때에는 반드시 방정하게 하고 귀를 기울여 듣지 않는다. 어른이 이끌어 주면 두 손으로 어른의 손을 칼을 지듯 받든다. 가까이서 말하면 곧 입을 막고 대답한다.

015 幼子常視母誑, 童子不衣裘裳. 立必正方. 不傾聽. 長者與之提攜, 則兩手奉長者之手, 負劒辟咡詔之, 則掩口而對.

016 從於先生, 不越路而與人言. 遭先牲於道, 趨而進, 正立拱手. 先生與之言則對, 不與之言則趨而退. 從長者而上丘陵, 則必鄕長者所視. 登城不指, 城上不呼.
將適舍, 求毋固. 將上堂, 聲必揚. 戶外有二屨, 言聞則入, 言不聞則不入. 將入戶, 視必下. 入戶奉扃, 視瞻毋回. 戶開亦開, 戶闔亦闔. 有後入者, 闔而勿遂. 毋踐屨, 毋踖席, 摳衣趨隅. 必愼唯諾. 大夫士出入君門, 由闑右, 不踐閾.
  선생을 따라갈 때에는 길을 건너가서 남과 이야기하지 않는다. 선생님을 길에서 만나면 빨리가서 바르게 서서 손을 마주 잡는다. 선생님이 말을 하면 즉시 대답하고, 아무 말도 하지 않으면 빠른 걸음으로 물러간다. 어른을 따라서 언덕에 오를 때에는 반드시 어른이 보는 곳을 향한다. 성에 올라서는 손가락질을 하지 않으며, 성 위에서는 큰소리치지 않는다.

   장차 남의 집에 갈때에는 굳이 요구하지 말아야 한다. 장차 마루로 올라가려고 하면 소리를 반드시 크게 해야 한다. 또 밖에 신발이 둘이 있을 때에는 말이 들리면 곧 들어가고 말이 들리지 않으면 들어가지 않는다. 장차 문안에 들어갈 때에는 보는 것을 반드시 아래로 한다. 문에 들어가면 문 빗장을 받들고, 방안을 휘둘러보지 않는다. 문이 열러 있으면 역시 열어 놓고, 문이 닫혀 있으면 역시 닫는다. 뒤에 들어오는 사람이 있으면 문을 닫아도 다 닫지 말아야 한다. 신발을 밟지 말아야 하며, 자리를 밟지 말아야 한다. 옷을 치켜들고 자리 모퉁이로 빨리 간다. 반드시 응대를 삼가야 한다. 대부와 선비가 임금의 문에 출입할 때에는 문안의 오른쪽으로 다니고 문지방을 밟지 않는다.
 

017 凡與客入者, 每門讓於客. 客至於寢門, 則主人請入爲席, 然後出迎客. 客固辭, 主人肅客而入. 主人入門而右, 客入門而左. 主人就東階, 客就西階, 客若降等, 則就主人之階. 主人固辭, 然後客復就西階. 主人與客讓登, 主人先登, 客從之, 拾級聚足, 連步以上. 上於東階, 則先右足, 上於西階, 則先左足.
  무릇 손님과 들어가는 자는 문마다 손님에게 양보한다. 손님이 침문에 도착하면 주인은 들어가서 자리를 펴겠다고 청하고, 그런 뒤에 나와서 손을 맞는다. 손이 굳이 사양하면, 주인은 손을 인도하여 들어간다. 주인은 문에 들어가서 오른쪽으로 가고 손은 문안에 들어가서 왼쪽으로 간다. 주인은 동쪽 계단으로 나가고 손은 서쪽 계단으로 나간다. 손이 만일 주인보다 지위가 낮으면 주인의 계단으로 나간다. 주인과 손이 서로 올라가는 것을 양보하면, 주인이 먼저 올라가고 손이 이에 따른다. 계단마다 발을 모아서 걸음을 이어 올라간다. 동쪽 계단으로 올라갈 때는 오른 발을 먼저 하고, 서쪽 계단으로 올라갈 때는 왼쪽 발을 먼저 한다.

018 帷薄之外不趨, 堂上不趨, 執玉不趨. 堂上接武, 堂下布武. 室中不翔, 並坐不橫肱. 授立不跪, 授坐不立.
   장막과 주렴 밖에서는 뛰지 않고, 당위에서도 뛰지 않는다. 옥을 가졌을 때에도 뛰지 않는다. 당 위에서는 발을 서로 붙이고 걷고, 당 아래서는 발을 서로 떨어지게 하고 걷는다. 방안에서는 팔을 펴고 걷지 않는다. 나란히 앉아서는 팔을 옆으로 벌리지 않는다. 서 있는 사람에게 물건을 줄 때는 꿇어앉지 않고, 앉아 있는 사람에게 물건을 줄 때는 서지 않는다.

019 凡爲長者糞之禮, 必加帚於箕上, 以袂拘而退. 其塵不及長者, 以箕自鄕而扱之. 奉席如橋衡. 請席何鄕, 請衽何趾. 席, 南鄕北鄕, 以西方爲上, 東鄕西鄕, 以南方爲上. 若非飮食之客, 則布席, 席間函丈. 主人跪正席, 客跪撫席而辭, 客徹重席, 主人固辭. 客踐席, 乃坐. 主人不問, 客不先擧. 將卽席, 容毋怍. 兩手摳衣, 去齊尺. 衣毋撥, 足毋蹶. 先生書策琴瑟在前, 坐而遷之, 戒勿越. 虛坐盡後, 食坐盡前. 坐必安, 執爾顔. 長者不及, 毋儳言. 正爾容, 聽必恭. 毋勦說, 毋雷同. 必則古昔, 稱先王. 侍坐於先生, 先生問焉, 終則對. 請業則起, 請益則起. 父召無諾, 先生召無諾, 唯而起. 侍坐於所尊敬, 毋餘席. 見同等不起. 燭至起, 食至起, 上客起. 燭不見跋. 尊客之前不叱狗, 讓食不唾.

020 侍坐於君子, 君子欠伸, 撰杖屨, 視日蚤莫, 侍坐者請出矣. 侍坐於君子, 君子問更端, 則起而對. 侍坐於君子, 若有告者曰, “少間, 願有復也, 則左右屛而待.”

021 毋側聽, 毋噭應, 毋淫視, 毋怠荒. 遊毋倨, 立毋跛, 坐毋箕, 寢毋伏. 斂髮毋髢, 冠毋免, 勞毋袒, 暑毋褰裳.

022 侍坐於長者, 屨不上於堂, 解屨不敢當階. 就屨, 跪而擧之, 屛於側. 鄕長者而屨, 跪而遷屨, 俯而納屨.

023 離坐, 離立, 毋往參焉. 離立者不出中間.

024 男女不雜坐. 不同椸枷, 不同巾櫛, 不親授. 嫂叔不通問, 諸母不漱裳. 外言不入於梱, 內言不出於梱. 女子許嫁, 纓, 非有大故, 不入其門. 姑姊妹女子, 已嫁而反, 兄弟弗與同席而坐, 弗與同器而食. 父子不同席. 男女非有行媒, 不相知名, 非受幣不交不親. 故日月以告君, 齊戒以告鬼神, 爲酒食以召鄕黨僚友, 以厚其別也. 取妻不取同姓, 故買妾不知其姓, 則卜之. 寡婦之子非有見焉, 弗與爲友.
  남녀끼리는 둘이서 앉지 않는다. 이가를 같이 하지 않는다.
건즐을 같이 하지 않는다. 친히 주지 않는다.
수숙 사이에는 통문하지 않는다. 제모에게는 아랫옷을 빨게 하지 않는다.
밖의 말은 문지방 안에 들어가게 하지 말고, 안의 말은 문지방 밖에나가지 않게 한다.
여자가 허가해서 끈을 머리에 장식하면 연고가 있기 전에는  그 문에  들어가지 않는다.
고모 자매 딸이 이미 시집갔다가 돌아오면, 형제가 한 자리에 앉지 않으며,
그릇을 같이 하여 먹지 않는다.
부자 사이에는 자리를 같이 하지 못한다.남녀 사이에 중매쟁이가 있기 전에는 이름을 서로 알리지 못한다. 폐백을 받지 않았으면 교제하지 않고 친근하게 하지 않는다. 때문에 날짜를 써서임금에게 고하고, 재계하고 귀신에게 고하고서, 주식을 차려 놓고향당과 친구들을 초대한다. 이것은 그 구별을 두텁게 하기 위해서이다. 아내를 얻는데 같은 성에서 얻지 않는다. 때문에 첩을 얻는데 그 성을 알 수가 없으면 점을 친다. 과부의 자식은 특별히 볼 것이 없으면 함께 벗으로 삼지 않는다.

025 賀取妻者曰, “某子使某, 聞子有客, 使某羞.”
  아내 얻은 자를 하례하는 데는 아무의 자식 아무를 보내서 그대에게 객이 있다는 것을 듣고아무를 시켜서 선물을 보낸다고 한다.

026 貧者不以貨財爲禮, 老者不以筋力爲禮.
  가난한 자는 재물을 가지고 예를 행하지 않는다. 늙은이는 근력을 가지고 예를 행하지 않는다.

027 名子者不以國, 不以日月, 不以隱疾, 不以山川.
  아들의 이름을 지을 때에는 나라 이름으로 짓지 않고, 해와 달로 이름을 짓지 않고, 은질을 가지고 짓지 않고, 산천을 가지고 짓지 않는다.

028 男女異長. 男子二十, 冠而字. 父前子名, 君前臣名. 女子許嫁, 笄而字.
  남녀는 장을 달리한다. 남자는 20세에 관례를 하고 자를 짓는다.
  아버지 앞에서 아들은 이름을 말하고, 임금 앞에서 신하는 이름을 말한다.
 여자가 허혼한 뒤에는 비녀를 꽂고 자를 쓴다.

029 凡進食之禮, 左殽右胾. 食居人之左, 羹居人之右. 膾炙處外, 醯醬處內. 蔥渫處末, 酒漿處右. 以脯修置者, 左胊右末. 客若降等, 執食興辭. 主人興, 辭於客, 然後客坐. 主人延客祭, 祭食, 祭所先進, 殽之序, 徧祭之. 三飯, 主人延客食胾, 然後辯殽. 主人未辯, 客不虛口. 侍食於長者, 主人親饋, 則拜而食, 主人不親饋, 則不拜而食. 共食不飽, 共飯不澤手. 毋摶飯, 毋放飯, 毋流歠, 毋咤食, 毋齧骨, 毋反魚肉, 毋投與狗骨, 毋固獲, 毋揚飯, 飯黍毋以箸, 毋嚃羹, 毋絮羹, 世刺齒, 毋歠醢. 客絮羹, 主人辭不能亨. 客歠醢, 主人辭以窶. 濡肉齒決, 乾肉不齒決. 毋嘬炙. 卒食, 客自前跪. 徹飯齊, 以授相者. 主人興, 辭於客, 然後客坐. 侍飮於長者, 酒進則起, 拜受於尊所. 長者辭, 少者反席而飮. 長者擧未釂, 少者不敢飮. 長者賜, 少者賤者不敢辭. 賜果於君前, 其有核者懷其核. 御食於君, 君賜餘, 器之漑者不寫, 其餘皆寫. 餕餘不祭. 父不祭子, 夫不祭妻. 御同於長者, 雖貳不辭, 偶坐不辭. 羹之有菜者用梜, 其無菜者不用梜. 爲天子削瓜者副之, 巾以絺. 爲國君者華之, 巾以綌. 爲大夫累之, 士疐之, 庶人齕之. 父母有疾, 冠者不櫛, 行不翔, 言不惰, 琴瑟不御, 食肉不至變味, 飮酒不至變貌, 笑不至矧, 怒不至詈. 疾止復故. 有憂者側席而坐, 有喪者專席而坐.

030 水潦降, 不獻魚鼈. 獻鳥者佛其首, 畜鳥者則勿佛也. 獻車馬者執策緩, 獻甲者執冑, 獻杖者執末, 獻民虜者操右袂, 獻粟者執右契, 獻米者操量鼓, 獻孰食者操醬齊, 獻田宅者操書致. 凡遺人弓者, 張弓尙筋, 弛弓尙角, 右手執簫, 左手承弣, 尊卑垂帨. 若主人拜, 則客還辟辟拜. 主人自受, 由客之左, 接下承弣, 鄕與客並, 然後受. 進劒者左首, 進戈者前其鐏, 後其刃, 進矛戟者前其鐓. 進几杖者拂之. 效馬效羊者右牽之, 效犬者左牽之. 執禽者左首, 飾羔鴈者以繢. 受珠玉者以掬, 受弓劒者以袂. 飮玉爵者弗揮, 凡以弓劒苞苴簞笥問人者, 操以受命, 如使之容.

031 凡爲君使者, 已受命, 君言不宿於家. 君言至, 則主人出拜君言之辱. 使者歸, 則必拜送于門外. 若使人於君所, 則必朝服而命之. 使者反, 則必下堂而受命.

032 博聞强識而讓, 敦善行而不怠, 謂之君子. 君子不盡人之歡, 不竭人之忠, 以全交也. 禮曰, “君子抱孫不抱子.” 此言孫可以爲王父尸, 子不可以爲父尸. 爲君尸者, 大夫士見之, 則下之, 君知所以爲尸者, 則自下之. 尸必式, 乘必以几. 齊者不樂不弔.

033 居喪之禮, 毁瘠不形, 視聽不衰, 升降不由阼階, 出入不當門隧.

034 居喪之禮, 頭有創則沐, 身有瘍則浴, 有疾則飮酒食肉, 疾止復初. 不勝喪, 乃比於不慈不孝. 五十不致毁, 六十不毁, 七十唯衰麻在身, 飮酒食肉, 處於內. 生與來日, 死與往日. 知生者弔, 知死者傷. 知生而不知死, 弔而不傷, 知死而不知生, 傷而不弔. 弔喪弗能賻, 不問其所費. 問疾弗能遺, 不問其所欲. 見人弗能館, 不問其所舍. 賜人者不曰來取, 與人者不問其所欲.

035 適墓不登壟. 助葬必執紼. 臨喪不笑. 揖人必違其位. 望柩不歌, 入臨不翔. 當食不歎, 鄰有喪, 舂不相, 里有殯, 不巷歌. 適墓不歌, 哭日不歌. 送喪不由徑, 送葬不辟塗潦. 臨喪則必有哀色, 執紼不笑, 臨樂不歎, 介冑則有不可犯之色. 故君子戒愼, 不失色於人. 國君撫式, 大夫下之. 大夫撫式, 士下之. 禮不下庶人, 刑不上大夫. 刑人不在君側.

036 兵車不式, 武車綏旌, 德車結旌.

037 史載筆, 士載言. 前有水, 則載靑旌. 前有塵埃, 則載鳴鳶. 前有車騎, 則載飛鴻. 前有士師, 則載虎皮, 前有摯獸, 則載貔貅. 行, 前朱鳥而後玄武, 左靑龍而右白虎. 招搖在上, 急繕其怒. 進退有度, 左右有局, 各司其局.

038 父之讎, 弗與共戴天. 兄弟之讎, 不反兵. 交遊之讎, 不同國.

039 四郊多壨, 此卿大夫之辱也. 地廣大, 荒而不治, 此亦士之辱也.

040 臨祭不惰. 祭服敝則焚之, 祭器敝則埋之, 龜筴敝則埋之, 牲死則埋之. 凡祭於公者必自徹其俎.

041 卒哭乃諱. 禮不諱嫌名, 二名不偏諱. 逮事父母, 則諱王父母. 不逮事父母, 則不諱王父母. 君所無私諱. 大夫之所有公諱. 詩書不諱, 臨文不諱, 廟中不諱. 夫人之諱, 雖質君之前, 臣不諱也. 婦諱不出門. 大功小功不諱. 入竟而問禁, 入國而問俗, 入門而問諱.

042 外事以剛日, 內事以柔日. 凡卜筮日, 旬之外, 曰遠某日, 旬之內, 曰近某日. 喪事先遠日, 吉事先近日. 曰, “爲日, 假爾泰龜有常, 假爾泰筮有常.” 卜筮不過三, 卜筮不相襲. 龜爲卜, 筴爲筮. 卜筮者, 先聖王之所以使民信時日, 敬鬼神, 畏法令也. 所以使民決嫌疑, 定猶與也. 故曰, “疑而筮之, 則弗非也. 日而行事, 則必踐之.

043 君車將駕, 則僕執策立於馬前, 已駕, 僕展軨效駕. 奮衣由右上, 取貳綏, 跪乘, 執策分轡驅之, 五步而立. 君出就車, 則僕幷轡授綏, 左右攘辟. 車驅而騶, 至于大門, 君撫僕之手, 而顧命車右就車. 門閭溝渠必步. 凡僕人之禮, 必授人綏. 若僕者降等, 則受, 不然, 則否. 若僕者降等, 則撫僕之手, 不然, 則自下拘之. 客車不入大門. 婦人不立乘. 犬馬不上於堂. 故君子式黃髮, 下卿位. 入國不馳, 入里必式. 君命召, 雖賤人, 大夫士必自御之. 介者不拜, 爲其拜而蓌拜. 祥車曠左, 乘君之乘車不敢曠左, 左必式. 僕御婦人, 則進左手, 後右手. 御國君, 則進右手, 後左手而俯. 國君不乘奇車. 車上不廣欬, 不妄指, 立視五雟. 式視馬尾, 顧不過轂. 國中以策彗卹勿驅, 塵不出軌. 國君下齊牛, 式宗廟. 大夫士下公門, 式路馬. 乘路馬, 必朝服, 載鞭策, 不敢授綏, 左必式. 步路馬, 必中道. 以足蹙路馬芻有誅, 齒路馬有誅.


추가 및 수정 자료가 있으시면 정확한 내용(첨부 자료 포함)을 아래의 E-Mail 또는 FAX로 보내 주십시오... .

성씨정보 E-Mail  

 FAX : 050-5858-0248

󺧸.kr - www.LabelMall.kr

Ʈ www.BitMall.net

오케스트라화일A4, 슈퍼화일A4, 악보화일, 노트용화일

오케스트라화일 B4, 연주용, Orchestra File, B4, 슈퍼화일 B4, 수퍼화일 B4, Super File B4, 메카라인
지티지 뮤직노트, A4. 연주용, 악보화일, 노트용화일, GTG
플러스화일, A4. 연주용, Plus File, 플러스파일, 악보화일, 노트용화일, 메카라인
뉴플러스화일, A4, New Plus File, 바인더형, 합창용, 메카라인
뮤직화일, A4. 합창용, 악보화일, 노트용화일, 메카라인
아이라벨, iLabel, www.아이라벨.com
폼텍라벨, Formtec, www.폼텍라벨.com
애니라벨, AnyLabel, www.애니라벨.com
라벨용지들의 종합 규격표 및 호환표
뉴멀티보드, New Multi Board, 뉴멀티클립보드, 메카라인 멀티보드, Multi Board, 멀티클립보드, 메카라인 밴드클립보드, Band Clip Board, 메카라인 소프트보드 101. Soft Board 101, 소프트보드, Soft Board, 메카라인 소프트보드 201. Soft Board 201, 소프트보드, Soft Board, 메카라인 소프트보드301가로 A3. Soft Board 301 H, 소프트보드, Soft Board, 메카라인 소프트보드301세로 A3. Soft Board 301 V, 소프트보드, Soft Board, 메카라인 모니터메모홀더, Monitor Memo Holder, 메카라인
오늘방문자
어제방문자
日최대방문자
전체방문자
[2008년 5월 11일 설치]

Flag Counter

:+: 성씨정보 :+: www.Surname.info :+: 써네임닷인포   
www.Surname.KR :+:
www.Surname.co.kr :+: 朝鮮大學校 ♡ 金勝鎬   
Fax : 050-5858-0248 * E-MAIL :
  

※ Npay - 플러스화일, 뉴플러스화일(리필가능), 뮤직화일, 멀티보드, 밴드클립보드, 이지클립보드, 아이라벨, 등등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