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조는 고려 신호위중랑장(神虎衛中郞將) 이돈수(敦守)이다.
 아들 이양준(陽俊)이 신종 때 출생하여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에 추증되었다.
 1241년(고종 28)에 남성시(南省試)에 급제한 이소(劭)는 시조 이돈수의 손자로써 
그의 맏아들 이윤온(允蒕)이 봉익대부·밀직사·판도판서(典法判書)·상호군 등을 역임한 후 선충결절공신 벽상삼한삼중대광으로 덕수부원군(德水府院君)에 추증되었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덕수(德水)로 하게 되었다.
 
 덕수이씨는 조선에서 문과 급제자 105명, 상신 7명, 대제학 5명, 
            공신 4명, 청백리 2명을 배출했는데, 그 중에는 율곡(栗谷) 이이(珥)와 
            충무공 이순신(舜臣)장군 등 뛰어난 인물이 들어 있다.
 
 | 
    
        |  [ 분파(分派), 계파(系派) ] - 36계파집의공파, 
            고창공파, 첨정공파, 주부공파, 의정공파, 직장공파,
 부장공파, 
            죽곡공파, 정재공파, 문성공파, 옥산공파, 참의공파,
 참판공파, 
            호군공파, 북계공파, 해풍군파, 감사공파, 판서공파,
 효정공파, 
            하원군파, 현감공파, 승지공파, 병사공파, 문혜공파,
 문헌공파, 
            문정공파, 어모공파, 우계공파, 사의공파, 생원공파,
 군수공파, 
            장령공파, 함종공파, 참판공파, 율리공파, 충무공파.
 | 
    
        |  [ 대표적 인물(代表的人物) ]이돈수(敦守) : 시조
 이행(荇) 
                : 중종 때의 대제학 ·좌의정
 이기(芑) 
                : 명종 때의 영의정
 이이(珥) : 
                율곡, 선조 때의 대제학
 이순신(舜臣) 
                : 충무공.
 이식(植) : 인조 때의 
            대제학
 이단하(端夏) : 숙종 때의 대제학 ·좌의정
 이여(畬) : 대제학 ·영의정
 이집(潗)  : 영조 때의 좌의정
 이은(溵) : 영조 때의 좌의정, 
            시호는 충목.
 이병모(秉模) : 정조 때의 
            영의정
 이유중(有中) : 선조 때의 대사헌 ·청백리,
 이안눌(安訥) : 
                인조 때의 
            예조판서 ·청백리
 이식(植) 
                : 대제학이다. 시호는 문정(文靖)
 이단하(端夏) 
                : 이익의 아들, 대제학이다. 시호는 문충(文忠)
 덕수이씨는 중종∼영조대에 이르는 약 300년간 성세를 보였는데, 
            문인파계와 무인파계의 두 집안으로 갈라진 것이 특색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