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428 CD번호부전용 라벨 (스티커)
|

진주 소씨 (晋州 蘇氏) |
시조(始祖) : 소경(蘇慶) |
요임금의 후손인 기곤오가 소성의 하백에
봉해지고 기원전 2266년 소성이 단군조선에 영속 되었으며 기씨를 소씨로
고쳐서 소씨가 생겼다고 한다. 소곤오(기곤오)의 후손이 신라 6부 촌장 중의 한사람인 돌산
고허촌(突山 高墟村)의 소벌도리(蘇伐都利)라고 한다. 소벌도리(蘇伐都利)의
25세손인 소경(慶, 577년 출생)은 후손이 없었는데 꿈에 소벌도리(蘇伐都利)가 나타나
진주 도사곡(저동)으로 이사를 하면 9저를 얻을 것이라고 하여 660년
3월 3일(신라 무열왕 7)에 지금의 진주시 상대동(저동)으로 이사를
한후에 9대에 걸쳐 9명의장군을 낳게 되었다. 그래서 후손들이 소벌도리(蘇伐都利)를
원조으로 하고 진주를 본관으로 하였으며 소경(慶)을 중시조로 하였다.
소경(慶)은
관직이 각우에 이르렀고 나라에 공을 세워 656년(무열왕 3)에 왕이
그의 조상인 소벌도리(蘇伐都利)를 문열왕에 추봉하였다.
|
|
[ 분파(分派), 계파(系派) ]
|
|
[ 대표적 인물(代表的人物) ] 소복서 :
소경의 손자, 청주총관이 되는 것을 시작으로 복서의 9세손 격달에 이르기까지 직계 9세 9장군이 배출되었다.
신라 말기에 왕봉규의
난으로 인해 멸문지경에 이르렀으나 장군 격달이 왕건 휘하에서 공을 세워 대장군에 올라 고려 때까지 관직을 지냈으며, 진산부원군에 봉해진 계령,
문하시중 광보 등 7명의 정승이 배출되었다. 고려조에서 15만을 헤아리던 소씨는 몽고의 침입으로 두 번째 멸문지경이 되었다가 희철이
상장군에 올라 가운을 다시 일으키기 시작하여 1261년(고려 원종 2) 동지중추원사 무숭이 진주를 사관 받았다.
한편 도사를 거쳐
구례현감을 지낸 자파의 아들 7형제가 크게 현달하여 명성을 날렸는데, 그중 다섯째 아들인 세양이 좌찬성에 이르렀다.
소동명
: 동지중추부사 소두산 : 동명의 아들, 숙종 때 평안도 병마절도사에 올랐으나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배척당할 때 개탄하여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
|
[ 상계 세계도(上系世系圖) ]
|
|
[ 집성촌(集姓村) ] 전북 남원군 덕과면 만도리 전북 익산군 금마면 서고도리 전북 익산군 망성면
어량리 |
|
[ 본관지 연혁(本貫地沿革) ] 경남
진주(晋州) |
|
[ 항렬표(行列表)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술(述) |
휘(輝) |
규(奎) |
진(鎭) |
영(永) |
병(秉) |
섭(燮) |
재(在) |
호(鎬) |
순(淳) |
51세 |
52세 |
53세 |
54세 |
55세 |
56세 |
57세 |
58세 |
59세 |
60세 |
수(秀) |
경(炅) |
균(均) |
종(鍾) |
홍(洪) |
근(根) |
희(熙) |
기(基) |
용(鎔) |
해(海) |
61세 |
62세 |
63세 |
64세 |
65세 |
66세 |
67세 |
68세 |
|
|
상(相) |
형(炯) |
재(載) |
현(鉉) |
락(洛) |
동(東) |
환(煥) |
경(坰) |
|
|
|
|
[ 인구(人口) ]
38,854명. (1985년) 37,184명. (2000년 통계청) |
|
[ 관련 사이트
]
|
|
추가 및 수정 자료가 있으시면 정확한 내용(첨부 자료 포함)을 아래의 E-Mail 또는 FAX로 보내 주십시오... .
|
FAX : 050-5858-024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