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LaBelMall.KR]

성씨정보 홈 > 관(官)

 

[www.BitMall.co.kr]

> 관(官)

 

 

관직해설(官職解說)

 

一. 고려조의 관아(官衙)와 관직(官職)
 고려조(高麗朝)의 관청과 관직중 대략 중요한 것만을 골라 주석(註釋)을 붙여 참고에 이바지 한다.

 

 

 

 ◐중앙정부(中央政府)◑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
  정부의 최고기관으로서 왕의 조칙(詔勅)을 받들어 심사(審査)하고 시행한다. 후에 도첨의사(都僉議司)로 고치었다. 이 관청의 장(長)은 대신(大臣)이니 중서령(中書令)과 문하시중(門下侍中)이 있고 그 밑에 시랑(侍郞), 평장사(平章事) 혹은 참지정사(참知政事), 좌우상시(左右常侍), 좌우승(左右承)이 있다. 그리고 도첨의사로 하였을 때에는 중서령을 판도첨의사사(判都僉議司事)라고 한적도 있고 또한 판문하성사(判門下省事)라고 하였으며 시중을 첨의중찬(僉議中찬)이라 하기도 하였다.

 상서성(尙書省) :
  행정기관의 최고기관으로서 육부(六部)를 감독하고 대정(大政)을 총리한다. 이 관청의 장(長) 역시 대신이니 이를 상서령(尙書令)이라 하였으며 판상서성사(判尙書省事)라고 하였다. 그 밑에 시랑(侍郞) 또는 좌우복야(左右僕射), 평장사(平章事) 혹은 참지정사(참知正事), 좌우상시(左右常侍), 좌우승(左右丞) 등 벼슬이 있는데 중문하성과 같다. (射=벼슬이름 야)

 이부(吏部) :
  관리의 인사(人事) 관계와 지방의 관서를 감독하는데 지금의 내무부와 총무처를 합친 격이다.

 호부(戶部) :
  국가의 재정과 호구(戶口)를 맡아 관장하고 있으니 지금의 재무부와 내무부를 합친 격이다.

 예부(禮部) :
  외교 관계와 백성의 교육과 풍교(風敎) 등을 관장하는데 지금의 외무부와 문교부를 합친 격이다.

 병부(兵部) :
  국방문제와 육해군을 감독하고 무관의 인사 등을 맡아 관장하는데 지금의 국방부 격이다.

 형부(刑部) :
  사법을 맡은 곳으로서 지금의 법원관계와 법무부를 합쳐서 관장하는 곳이다.

 공부(工部) :
  공업과 농정(農政)을 맡아 관장하는 기관이니 지금의 상공부, 농림부 격이다.
이상의 각부에는 상서(尙書), 시랑(侍郞), 낭중(郞中), 원외랑(員外郞) 등의 관원이 있다.

 중추원(中樞院) :
  후에 추밀원(樞密院) 혹은 밀직사(密直司)로 고쳤다. 왕의 자문(諮問)에 응하고 조명(詔命)을 맡은 기관이다. 여기에는 사(使), 부사(副使), 지신사(知申事), 승선(承宣) 등의 관원이 있다.

 삼사(三司) :
  나라의 돈과 곡식을 관장하는 기관으로서 여기의 장은 사(使)라고 하였다.

 국자감(國子監) :
  국립대학으로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이며 여기의 장은 대사성(大司成)이다. 

 대농시(大農寺) :
  미곡(米곡)을 맡아 관리하는 기관으로 그 장은 경(卿)이다. (寺=내관 시)

 전중성(殿中省) :
  대궐안의 모든 사무를 맡은 기관으로서 그 장은 감(監)이다.

 어사대(御史臺) :
  왕의 잘못을 간(諫)하고 백관의 과오와 비행을 규탄한다. 그 장은 어사대부(御史大夫)이다.

 비서성(秘書省) :
  왕의 측근에서 문서를 다루고 봉행하는 기관인데 그 장은 감(監)이다. 오늘의 비서실이다.

 한림원(翰林院) :
  왕의 조서(詔書)를 맡아서 짓는다. 그 장은 학사(學士)라고 하였다.

 경시서(京市書) :
  서울에 있는 시장과 사업에 관한 일을 맡은 기관이며 그 장은 감(監)이다.

 군기시(軍器寺) :
  모든 군기를 조달하고 관수(管守)하는 관청인바 그 장은 감(監)이다.

 예빈성(禮賓省) :
  손님을 접대하는 관청이며 그 장은 경(卿)이라 하였다. 의전실과 같다.

 순군(巡軍) :
 국내 치안을 담당한 경찰의 직분을 맡은 관청인데 그 장은 만호(萬戶)이다. 지금의 경찰청

 태부시(太府寺) :
  나라의 재물을 관리하는 관청인데 그 장을 경(卿)이라고 했다.

 소부감(少府監) :
  나라의 모든 물건을 보관하는 창고를 관리하는 관청인바 그 장은 판사(判事)라고 했다.

 태사국(太史局) :
  천문(天文)과 역서(曆書)에 관한 사무를 맡은 관청인데 그 장은 영(令)이다.

 태복시(太僕寺) :
  나라에 쓰는 수레와 말을 맡은 관청이며 그 장은 경(卿)이다.

 개성부(開城府) :
  고려의 수도 서울을 맡은 관청인바 그 장은 판사(判事)이다. 고려조의 관청중 중요한 것은 이상과 같으며, 그외에 왕의 고문이요, 원로인 삼사(三師)가 있고 또는 무임소(無任所) 대신(大臣)인 삼공(三公)이 있다.

 삼사(三師) :
  태사(太師), 태부(太傅), 태보(太保) 모두 正一品이다.

 삼공(三公) :
  삼공은 무임소대신인바 태위(太尉), 사도(司徒), 사공(司空)이다. 역시 正一品인데 이 삼사와 삼공은 공민왕때에 폐지 되었다.

 태자궁(太子宮) :
  태사(太師), 좌우빈객(左右賓客), 좌우유덕(左右諭德), 좌우찬선(左右찬善).
武官職(무관직): 상장군(上將軍 또는 上護軍), 대장군(大將軍) 장군(將軍), 중랑장(中郞將), 낭장(郞將), 별장(別將)등이 있었다.

 

 


고려조의 주요관아(官衙) 및 관직(官職)의 품계(品階)

 위에 열거한 관청외에 앞의 고려관직표에 나타난 것을 발췌하여 참고로 한다. 어떤 계통이나 체계가 있는 것이 아니고 다만 중요한 줄거리만 간단히 설명한 것이니 이해하시기 바란다.

 태사(太師) :
  태부(太傅), 태보(太保) 삼중대광(三重大匡),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태위(太尉), 사도(司徒), 사공(司空) 상주국(上柱國=훈위의 첫째) (이상은 정一품임)

 중서령(中書令) :
  후에 도첨의(都僉議) 또는 첨의정승(僉議政丞)등으로 고침. 판문하성사(判門下省事=중서령의 전신), 시중(侍中=후에 첨의 중찬(中?)으로 고침. 상서령(尙書令), 판상서성사(判尙書省事=재신 <宰臣>이 겸임함) 감수국사(監修國事=사관의 으뜸 벼슬로서 시중이 겸임함)
  판삼사사(判三司事), 주국(柱國=훈위의 둘째) (이상은 종一품임)

 평장사(平章事) :
  참지정사(참知政事), 상서(尙書=뒤에 전서(典書) 또는 판서(判書)라 하였는데 정二품 또는 정三품으로 한때도 있음)

 좌우복야(左右僕射) :
  중서시랑(中書侍郞=중서성에 한함)
태자빈객(太子賓客=태자궁에 빈객벼슬), 태학사(太學士=뒤에 대제학으로 하였음), 춘추관사(春秋館事=춘추 관의 으뜸 벼슬로서 二품이상의 타관이 겸임함), 찬성사(贊成事), 판 내시부사(判內侍府事) (이상은 정二품)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정당문학(政堂文學), 문하평리(門下評理), 주부(主簿), 동지(同知) (이상은 종二품)

 부사(副使 추밀원 등의 관직):
  상시(常侍), 지신사(知申事=뒤에 지주사(知奏事)로 고침, 중추원, 추밀원, 밀직사의 벼슬) 승선(承宣=뒤에 승지(承旨)로 고침 감(監), 경(卿=감, 경은 각 관청의 장인바 종三품도 있음) 어사대부(御史大夫=어사대의 으뜸 벼슬), 제거(提擧=보문각, 국자감의 벼슬임 대사성(大司成=국자감의 장), 대언(代言=승선을 고침), 상호군(上護軍=상장군을 고침) (이상은 정三품)

 지공거(知貢擧) :
  학사로서 과거를 맡아 봄, 동지공거(同知貢擧)의 위 (종三품 혹은 정四품임)

 제주(祭酒) :
  국자감의 벼슬로서 뒤에 성균관 사성(司成)임 비서감(秘書監), 좌우사간(左右司諫) (이상은 종三품임)

 직학사(直學士):
  간의(諫議=사간원의 간의대부), 봉상(奉常=봉상대부) (이상은 정四품임) 太府少卿(태부소경): 국자사업(國子司業=국자감의 벼슬), 급사중(給事中=중서문하성의 벼슬) (이상은 종四품임)

 낭중(郞中) :
  중랑장(中郞將) (이상은 정五품임)
 侍御史(시어사) 비서승(秘書丞) 기거주(起居注) (이상 종五품임)
 員外郞(원외랑): 좌우정언(左右正言), 습유(拾遺=정언의 전신), 보궐(補闕=중서문하성의 벼슬로서 뒤에 헌납(獻納으로 고침), 상의봉어(尙衣奉御=상의국의 벼슬) (이상은 정六품임)

 내급사(內給事) :
  비서교랑(秘書校郞), 비서랑(秘書郞), 낭장(郞將) (종六품)

 지후(祗候 = 정七품 벼슬) :
  주서(注書)=(종七품), 녹사(錄事=정八품), 장사랑(將仕郞=종九품), 급사(給事=정九품)

 직문한(直文翰) :
  문한성의 벼슬

 지제고(知製誥) :
  왕의 조서, 교서 등을 지어 바치는 벼슬로서 뒤에 지제교(知製敎)로 고침

 필도지(必도赤) :
  몽고에서 온 말인데 서기일을 맡아보는 관원.

 첨사성(詹事省) :
  세자 시강원

 보문각(寶文閣) :
  왕을 모시고 경서를 강론하는 관청인데 뒤에 경연(經筵)으로 고침

 중방(重房) :
  상장군, 대장군들이 모여 군사를 의논하던 곳.

 판도(版圖):
  뒤에 호조(戶曹)로 고침

 합문(閤門):
  뒤에 통례원(通禮院)으로 고침 조하(朝賀)와 제사 등을 맡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