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428 CD번호부전용 라벨 (스티커)
|
능성 (陵城) |
|
위치 : 지금의 전라남도(全羅南道) 화순군의 속면이다. |
백제시대 때 넓은 평야를 끼고 있는
이릉부리군(爾陵夫里郡, 능주방면)
있었다.
757년(통일신라 경덕왕) 전국의 지명을 한자화 및 두자로 줄이는 작업을 하면서 이릉부리군(爾陵夫里郡)은 능성군(陵城郡)으로
하였다.
940년(고려 초) 능성현(陵城縣)은 한자를 바꾸어
능성현(綾城縣)으로 하였다. 1407년 능성현하였다. 1416년 순성현(順城縣.
화순과 능성합함), 동복현으로 하였다. 1418년에 이르러 세지역의 통합이 불가하여 능성현,
화순현,
동복현으로 두었다. 1597년 정유재란의 피해가 너무 심하여 화순현의 백성들은 스스로 폐현을 자청 능성현에 합하였고
1611년에
이르러서야 화순현이 복현되기도 하였다. 이복현을 기념하여 당시 객관앞에 심은 것이 바로 화순군청에 서 있는 은행나무이다.
1632년
인조반정이 있는지 10년후 인조의 모친인 인헌왕후의 관향이라 하여 능성현은 일약 능주목으로 한등급 올라서게 되었다. 이로서 화순지역에는 능주목,
화순현,동복현의 세 고을로 이어져 왔는데 1655년 동복현의 객사와 전패가 화재로 불에 타자 잠시 화순현에 합하였다가 다시
1895년 5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능주군, 화순군이 되었다.
1908년 10월 15일(대한제국 시대) 화순군(和順郡)을 폐지하여 능주군에
흡수시킴으로써 능주군, 동복군으로 있었다.
1913년 능주군을 화순군(和順郡)으로 개칭하였다. |
|
|
|
[ 관련 본관(성씨) ] 능성구씨(具氏),
능성김씨(金氏), 능성문씨(文氏), 능성오씨(吳氏), 능성정씨(鄭氏),
능성조씨(曺氏), 능성주씨(朱氏)
|
|
[ 관련 사이트 ] 능주(綾州),
화순(和順)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
|
추가 및 수정 자료가 있으시면 정확한 내용(첨부 자료 포함)을 아래의 E-Mail 또는 FAX로 보내 주십시오... .
|
FAX : 050-5858-024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