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428 CD번호부전용 라벨 (스티커)
|

임천 조씨
(林川 趙氏) |
시조(始祖) : 조천혁(趙天赫) |
시조 조천혁(天赫)은 중국 송(宋)나라 태조의 손자
조유길(惟吉)의 다섯째 아들이다. 그는 979년(고려 경종 4, 송
태종 4) 위왕이 화를 입자 숙부 유고(惟固)와 함께 화를 피해 우리나라에
들어와 지금의 부여군 임천면에 정착하였다. 그 후 고려 현종 때
강감찬(姜邯贊)과 함께 거란군을 대파한 공으로 가림백(嘉林伯, 임천의 옛이름)에
봉해지고, 문하시중 평장사에 이르렀다. 그래서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고 본관을 임천(林川)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
|
[ 분파(分派), 계파(系派) ]
|
|
[ 대표적 인물(代表的人物) ]
조응공(應恭) : 조선 중종 때 황해도사 겸 춘추관기사관을 지냄.
조원경(元卿) : 성균관사성을 지냄
조명정(明鼎) : 우승지·충청도관찰사·이조판서를 지냄
조병호(秉鎬) : 조선 말기 문신
조지서(之瑞) : 성종 때 청백리.
조원(瑗) : 시문(詩文), 선조 때 정언(正言)이 되어 당쟁의 폐해를 상소하였으며, 뒤에는 승지에 이르렀다
조희일(希逸) : 예조참판 등을 역임하였으며 서화, 시문(詩文)에 능하였다
조석형(錫馨) : 시문(詩文), 인조 때 진사시(進士試)에 1등으로 합격하였으나
일체의 벼슬을 거부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였으며, 특히 당시(唐詩)에 정통하였다.
이성기(聖期) : 한문소설 "창선감의록(彰善感義錄)"의 저자로 알려졌다.
조경호(慶鎬) : 흥선대원군의 사위로서 공조 ·예조판서를 역임하고 일본정부가 준 남작(男爵)을 거절하였다. 임천조씨는 조선조에서 상신 1명, 호당 1명,
청백리 1명, 문과 급제자 38명을 배출했다.
|
|
[ 상계 계보도(上契系譜圖) ]
|
|
[ 집성촌(集姓村) ] 전북 익산군 함라면 함열리 충남
홍성군 홍동면 신기리 경남 산청군 생비량면 도리 충남
대덕군 기성면 일원 충북 괴산군 소수면 일원 |
|
[ 본관지 연혁(本貫地沿革) ] 충남
부여 임천(林川) |
|
[ 항렬표(行列表) ]
16세 |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형(馨) |
기(期) 경(景) |
정(正) |
명(明) |
덕(德) |
학(學) |
재(在) 기(基) |
호(鎬) |
한(漢) |
식(植)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용(容) |
규(圭) 영(英) |
진(鎭) |
택(澤) |
수(秀) |
찬(燦) |
준(埈) |
석(錫) |
윤(潤) |
환(桓) |
36세 |
|
|
|
|
|
|
|
|
|
희(熙) |
|
|
|
|
|
|
|
|
|
|
|
[ 인구(人口) ]
10,448명. (1985년) 11,040명.
(2000년 통계청) |
|
[ 관련 사이트
]
|
추가 및 수정 자료가 있으시면 정확한 내용(첨부 자료 포함)을 아래의 E-Mail 또는 FAX로 보내 주십시오... .
|
FAX : 050-5858-024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