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지리산에 
            들어가 3년간 오경(五經)과 성리학을 연구하였다.    1483년(성종 
            14) 진사시에 합격,    성균관 유생이 되고,     1490년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소격서 참봉이 되었다.    같은 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검열을 거쳐 세자시강원 설서(說書), 안음현감(安陰縣監)을 
            지내고,     1498년(연산 4)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종성(鍾城)에 유배,   
                  죽은 뒤 1504년 
            갑자사화(甲子士禍)가 일어나자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었으며, 
            당시 성리학의 대가로서 '용학주소(庸學註疏)', '주객문답설(主客問答說)', 
            '진수잡저(進修雜著)'등의저서가 있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인이 
            모두 소각되었고,    지금은 정구(鄭逑)가 엮은 '문헌공실기(文獻公實記)' 
                속에 
            그 유집(遺集) 일부가 정구(鄭逑)의 "문헌공실기(文獻公實記)" 속에 
            전할 뿐이다.
     중종 때 우의정에 추증,     광해군 때 문묘에 배향되고     나주(羅州)의 경현서원(景賢書院),    상주(尙州)의 도남서원(道南書院),  
              함양의 남계서원(藍溪書院)을 비롯하여 10여 서원에 제향되었다.
     문집에 "일두유집(一 
            遺集)"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