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urname info ]

성씨정보 - 종류별성씨
성씨정보 - 종류별성씨
성씨정보 - 성씨의 인구별 순위
성씨정보 - 성씨의 본관별 인구
성씨정보 - 외래 귀화 성씨
성씨정보 - 유사본관, 비슷한 성씨
성씨정보 - 성씨의 영문 표시
성씨정보 - 2000년 새로 나타난 성씨
플러스화일, PlusFile, 악보화일, 노트용화일 우편번호 찾기 - Postal Code Search
CL428 CD번호부전용
라벨 (스티커)


비트정보 - 라벨자료실

 

[ www.Surname.info ] 

성씨정보 홈 > 성씨정보 > 종류별 성씨 >   [ www.BitMall.net 비트몰 ]  

비트몰 쇼핑몰로 이동합니다


청주 이씨 (淸州 李氏) - 추가자료

 시조(始祖) : 이능희(李能希)


시조 이능희(李能希)는 고려 개국공신(開國功臣)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고려의 최고의 품계, 정일품, 벽상은 조정의 벽에 공신의 초상화를 그려 붙인 것에서 유래됨) 태사(太師;왕의 고문) 국공(國公)에 봉하고 식읍(食邑) 3000호를 하사받았다.

고려 태조 원년(918) 8월 신해일에 개국 공신 2등으로 지정하였고, 금은 그릇, 비단 등을 하사 받았다.

태조 23년 12월에 신흥사에 공신당을 지어 삼한공신을 동서벽에 그려 붙였다. 시호(諡號)는 안도공(安度公)이다. 고려사에는 휘가 희능(希能)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양촌집과 문간공신도비에서 권근은 휘를 능희라 하여 이를 따르고 있다.

2세손 이겸의(李謙宜)도 삼한공신으로 금자광록대부에 올랐으며, 3세손 이원심(李元審)은 태보(太保)였다. 4세손 이중강(李仲降)은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냈으며 5세손 이인지(李仁至)는 태부(太傅)를 지냈다.

6세손 문정공(文貞公) 이공승(李公升)은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지냈으며, 7세손은 정숙공(貞肅公) 이춘로(李椿老), 8세손은 대장군 이장(李粧)이다. 9세손은 판밀직사 이창우(李昌祐)이다. 이창우는 두 아들 낭성군(琅城君) 이계감(李季瑊)과 보은백 이계성(李季成)을 두니 10세손이다. 11세손에는 이계감의 아들 이연이 서원(西原: 청주의 옛이름)백에 봉해졌으며, 문간공 이정(李挺)과 대제학 이방직(李邦直)이 있다. 이계성은 판도판서(版圖判書)이송고(李松固)와 판도판서(版圖判書)이방고 (李芳固)를 두었다.

12세손으로는 문간공(文簡公) 이정(李挺)의 네아들 이유신(李由信), 이거인(李居仁), 이거의(李居義), 이거이(李居易)와 이방직의 아들로는 이승원(李承源), 이보무(李輔武) 등이 있다. 이들은 조선조 개창을 전후한 시기에 모두 벼슬하였고, 여기서 분파를 형성하여 자손이 번창하였다.

청주이씨는 13세손이자 이거이의 아들이며 조선 태조(太祖)의 사위인 이애(李薆, 李佇)가 정사좌명공신(定社佐命功臣)에 이르고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상당은 청주의 옛 지명)에 봉해졌기 때문에 후손들이 청주를 본관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계감의 동생 이계성이 보은군(報恩君)에 봉해졌기 때문에 보은백을 시조로 분적한 보은이씨(報恩李氏)도 통합하였다.

 

[분적종 및 분파]

 

정숙공파(貞肅公派): 문간공파(文簡公派), 낭성공파(琅城公派)

평장공파(平章公派): 봉상공파(奉常公派), 통정공파(通政公派), 참봉공파(參奉公派), 교위공파(校尉公派)

 

[대표적 인물]

 

이능희(李能希): 개국공신(開國功臣) 벽상삼한삼중대광태사(壁上三韓三重大匡太師)태조 23년 12월에 신흥사에 공신당을 지어 삼한공신을 동서벽에 그려 붙였다. 시호(諡號)는 안도공(安度公)이다.

이겸의(李謙宜): 형관어사(形官御使)를 지냈다.

태조의 통일사업을 도와 삼한공신(三韓功臣)이 되었으며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에 올랐다.

이원심(李元審): 태자태부(太子太傅)를 지냈다.

이중강(李仲降): 상서우복사(尙書右僕射)야를 지냈다.

이인지(李仁至): 시호(諡號)는 문정(文正)이며 태부(太傅)를 지냈다.

이공승(李公升): 호(號) 는 추월재(秋月齋)이며, 시호(諡號)는 문정(文貞)이다.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지냈다.

이유적(李攸績): 1056년(문종 10) 왕이 지방수령과 향리들의 부지런함과 태만함, 청렴결백함과 부정·부패 따위의 근무자세와 일반백성들의 빈부와 고락을 살피기 위하여 사신을 보내어 철저하게 조사하라는 명을 내렸다.

이때 겸시어사 형부원외랑(兼侍御史刑部員外郎)으로서 산동남충경상주 삼도무문사(山東南忠慶尙州三道撫問使)에 임명되었다.

1059년 기거주(起居注)로 있으면서 감찰어사 이병양(李秉陽)과 함께 죄수를 조사, 그 중 죄가 가벼운 63명을 석방시켰다.

1061년 우유덕(右諭德)이 되었고, 1063년 형부시랑 우간의대부(刑部侍郎右諫議大夫)로서 서북면춘하번병마부사(西北面春夏番兵馬副使)로 나아갔다. 뒤에 관직이 예부시랑에까지 이르렀다.

이춘로(李椿老): 자(字)는 고존(固存)이며 시호(諡號)는 정숙(貞肅)이다. 첨지정사(僉知政事)를 지냈다.

일찍이 서해 지방을 안찰하였는데 그곳 아전과 백성들이 경외(敬畏)하여 복종하였다. 그는 재상의 요직에 여러번 지내면서 청렴하고 성실근면하기로 칭찬을 받았다.

이계장(李桂長): 중서문하평장사(中書門下平章事)를 지냈다.

명종 때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郎平章事)를 지낸 이공승(李公升)의 아들이다. 국자감시(國子監試) 1회, 예부시(禮部試) 3회를 주관하면서 명사를 선발하였다는 평을 들었다.

이궤(李軌): 자는 공제(公濟)이고, 이전 이름은 이재(載)다. 그의 아버지 이유적(攸績)은 예부시랑으로 있었다.

이궤(軌)는 선종 때에 소부 주부(少府注簿)로 되어 왕의 명으로 송나라에 보내는 공문을 교정하였는데 송나라 연호를 써야 할 데다 그만 요의 대안(大安) 연호로 오서(誤書)했으므로 송나라에서 그 공문을 반환하여 왔다. 이 사건으로 인하여 관직에서 파면되었다. 숙종 6년에 예부낭중으로서 요나라에 사신으로 갔었는데 대각국사(大覺國師)가 공목관(孔目官) 이복(李復)에게 부탁하여 금종(金鐘)을 헌납할 것을 청원하게 한 일이 있었는바 사신이 귀국한 후 형부에서 이복을 탄핵하여 처벌하고 또 이궤도 그런 내막을 알면서 금지하지 않은 책임으로 역시 파면되었다. 예종 때에 벼슬이 정당문학 호부상서 수 국사에 이르렀다가 수 사공 참지정사까지 승직되었는데 병으로 여러 번 치사를 청하였으므로 동정하는 조서를 주고 퇴직을 허락하였다. 예종 17년(1122)에 죽으니 시호를 문간(文簡)이라 하였다.

이계감(李季瑊): 호(號)는 백헌(百軒)이며 시호(諡號)는 정헌(正憲)이다. 태사(太師)를 지냈다.

이계성(李季成): 판추밀원사(判樞密院事)를 지냈다.

이정(李挺): 호(號)는 사암(思菴)이며 시호(諡號)는 문간(文簡)이다. 형부상서(刑部尙書)를 지냈다. 공민왕의 각별한 총애를 입어 내불당(內佛堂)을 감역하였는데, 어제친필(御製親筆)의〈탄상하교문 嘆賞下敎文〉을 친수하여 공적을 찬양받았다.

이방직(李邦直): 자(字)는 청경(淸卿)이며 호(號)는 의곡(義谷)이다. 대제학(大提學)을 지냈다.

이유신(李由信): 호(號)는 송은(松隱)이며 형부낭중(刑部郎中)을 지냈다.

고려 충혜왕 때에 문과에 급제하여 문림랑 지평(文林郞 持平)으로 경상도 안찰사(慶尙道 按察使)를 지냈고, 공민왕 임진년에는 중직대부(中直大夫) 형부 낭중(刑部 郎中)의 관직에 있을 때 왕에게 주청하여 변발(辮髮:고려때 머리를 땋는 풍습)을 해제하도록 하였다. 공은 일찍이 제사 또한 정성으로 잘 받들었고 어질고 착하였으며 학문에 뛰어나 모든 이들이 의지하고 기대하는 현인이었다.

이거인(李居仁): 자(字)는 수보(壽父)이며 호(號)는 난파(蘭坡)이고 시호(諡號)는 공절(恭節)이다.검교좌정승(檢校左政丞)을 지냈다. 조선이 건국되자 삼사좌사(三司左使)로 진위사(陳慰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오고 뒤에 청천백(淸川伯:淸城伯이라고도 함.)에 봉하여졌다.

이거의(李居義): 호(號)는 청은(淸隱)이며 공조전서(工曹典書)를 지냈다.

이거이(李居易): 자(字)는낙천(樂天)이고 호(號)는 청허당(淸虛堂)이며 시호(諡號)는 문도(文度)이다.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영의정(領議政)을 지냈다.

고려 평장사(平章事) 공승(公升)의 6대손으로, 고려말에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를 역임하였다. 조선왕조가 건국된 뒤 1393년(태조 2)에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에 임명되고, 그뒤 평안도병마도절제사·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참찬문하부사·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등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그러나 그의 출세는 왕자의 난 이후 태종이 집권한 이후부터이었다. 그는 왕자의 난 직후에 책봉된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올랐으며, 또한 태종이 즉위한 직후에는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봉되었다. 사실 그는 조선왕조의 왕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즉, 그의 아들 저(佇)는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장녀 경신공주(慶愼公主)와 혼인하였으며, 또 다른 아들 백강(伯剛)은 태종의 장녀 정순공주(貞順公主)와 혼인하였다. 이러한 특수한 관계가 조선왕조 건국 이후에도 그의 정치적 진출을 쉽게 하였으며, 나아가 태종의 집권 이후에도 그가 공신이 될 수 있는 배경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정종이 재위할 때 시행된 사병혁파(私兵革罷) 조처에 대하여 크게 불만을 토로한 것이 연유가 되어 한때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좌천되었다. 이후 1402년(태종 2) 좌명공신이 되고 또한 영사평부사(領司平府事)로 승진되었다.

이후에 다시 대간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복직되어서는 우정승을 거쳐, 영의정의 지위에까지 올랐다.

이보무(李輔武): 대제학(大提學)을 지냈다.

이백겸(李伯謙): 충렬왕 때 문과에 급제, 남경사록(南京司錄)이 되고, 우정언지내지(右正言知內旨) 를 지낸 뒤 공주부사로 부임, 농상(農桑)을 권장하여 칭송을 받았다. 뒤에 우사간을 거쳐 충선왕초에 사헌집의·우대언 지선부사 예문관사백(右代言知選部事藝文館司伯)·밀직부사·선부전서(選部典書)를 역임하고 제주와 해주목사로 부임, 선정을 베풀었다.

1318년(충숙왕 5) 제주인 김성(金成) 등이 학정에 못 이겨 난을 일으키자 이를 진압하고자 하였는데, 난민들이 그가 부임하면 난을 그치겠다 하므로 다시 제주목사에 부임하여 이들을 선무함으로써 난이 종식되었다.

1321년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가 되었다.

이백신(李伯臣): 지울산군사(知蔚山郡事)를 지냈다.

이현경(李賢卿): 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냈다.

이애(李薆): 초명(初名)은 백향(伯鄕)이다. 1363년(고려 공민왕 12) 조선 초기에 영의정을 지냈던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이거이(李居易)의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1397년(태조 5) 태조의 첫째 딸 경신공주와 혼인하여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에 책봉되었다.

1398년(태조 6) 왕위 계승권을 둘러싸고 왕자들 사이에 일어난 제1차 왕자의 난에 가담하여 공을 세움으로써 정사좌명공신(定社佐命功臣)의 반열에 올랐으며 1400년(정종 2) 제2차 왕자의 난에서도 공을 세워 정사좌명공신 1등의 반열에 올랐다. 고향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1414년(태종 14) 52세의 나이로 죽었다.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원당골에 그를 기리기 위해 지은 사당이 있다.

이백강(李伯剛): 시호(諡號)는 정절(靖節).영의정 거이(居易)의 아들. 1397년(태조 6) 음보로 별장이 되었으며, 1399년 방원(芳遠)의 맏딸 정순공주(貞順公主)와 혼인하여 청평위(淸平尉)가 되었다.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방간의 난) 때 방원을 도와 대장군에 올랐다. 태종이 즉위하자 숭정대부(崇政大夫) 청평군(淸平君)에 봉하여졌으나, 1404년에는 아버지가 불충하다는 이유로 서인으로 폐하여져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났다. 1418년에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청평부원군에 봉하여졌다. 1422년 진하사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450년 수록대부(綏祿大夫) 청평위가 되고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

이관도(易寬道):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냈다.

이곤륜(李崑崙):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냈다.

이중하(李仲夏): 개성유수(開城留守)를 지냈다.

이하성(李夏成): 호(號)는매촌(梅村)이며 대사간(大司諫)을 지냈다.

이윤화(李允華):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냈다.

이원첨(李元瞻): 호(號)는 동명(東溟)이며 부사(府使)를 지냈다.

태종 18년 정유에 천과 에 급제하여 좌병조사(左兵曹事) 집현전교리 좌언(佐兵殿校理 左言)을 역임하였다. 천성이 청고하고 소방(疏放)하며 거문고에 능하고 서화에도 조예가 있었다. 세종 21년 무오에는 왕명을 받들어 천추 전 옥류기륜을 만 들고 흠겸각에는 사시풍경도를 그려 위정자로 하여금 농시(農時)를 알도록 하였다. 문종 초 년에는 육진의 병 법을 강론하기로 하였다. 그후 통정대부(通政大夫) 형방승지(刑房承旨) 평산부사(平山府使) 로 있을 때 문종 이 승하하고 단종이 즉위한 지 얼마 안 되어 수양대군에게 양위하자 단식으로 뜻을 밝히고 평산내아에서 자진 하니 향년이 61세이었다. 동년 10월에 홍주 선영 아래 안장하였는데 관찰사 인재 강화안이 흠포를 전하고 괘 금조를 지어 조의를 표하였다.

이윤광(李允光):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냈다.

이세영(李世榮): 자(字)는 형지(亨之)이며 호(號)는 서산(西山)이다.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를 지냈다. 평산부사 이원첨의 차자 이다. 생원, 진사로 무과에 급제하여 절제사에 이르고 다시 운금이 되어 왕이 호위하던 중 세조의 찬역으로 단종이 영월적소 (寧越謫所)에서 최후를 마치게 되자 관직을 버렸다. 세상을 도피하여 자칭 서산두타라 하며 사방의 사찰을 전 전하다가 마침내 불문에 몸을 던져 속세와 인연을 끊었다. 『장릉현성지(莊陵顯聖誌)』를 써서 세상에 남기 고 하직하였는데 그 후 숙모전에 배향(配享)되었다. 『해동야사(海東野史)』에는 사육신외에 삼의사가 있는데 삼의사 중의 한 분이라고 기록 되어 있다.

이지천(李知天): 현감(縣監)을 지냈다.

이거(李蕖): 시호(諡號)는청절(淸節)이며 한성부윤(漢城府尹)을 지냈다.

자는 형백(馨伯)이요, 호는 강개옹(慷慨翁)이다. 북진병사 이세영의 증손으 로 일찍이 조용문의 문하에서 경세의학을 배워 유학을 비롯하여 병법(兵法), 천문(天文), 의 약(醫藥), 복서(卜筮). 음률(音律)까지도 통달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고 한다. 임진년 난리에 백의로 출전, 의병들과 청주작전에 각건(角巾)과 큰 옷을 입고 진두에서 작전지휘를 하여 적 을 대파하였고, 체찰사 이원익에게는 호서지방을 수호하는 전략을 글로 써 보내기도 하였 다. 이몽학이 반란을 일으켜 홍주성에 오자, 그는 형인 호군 이권과 사직 이대춘, 승지 이효립 과 같이 노복 백여명을 이끌고 홍주성에 들어와 목사 홍가신을 도와 반란을 평정하였다. 정 유년에 왜란이 재발하자 임시로 조방장이 되어 직산에서 적을 대파하고 명나라 장사 부총 병 해생과 같이 청주에서 적의 퇴로를 끊어 큰공을 세웠다. 왜란이 평정된 후 나라에서는 한 성부윤중추부사 오위도총부도총관 분충장의적의청난! 원종공신(漢城府尹中樞府事 五衛都摠府都摠管 奮忠仗義迪毅淸難原從功臣)으로 철권(鐵券)에 기록하였다. 그는 당시 조정에서 논 공(論功)함이 사실과 상위됨이 많고 사대부들이 염치없는 것을 보고 “내가 본래 임천지간(林泉之間)에서 글 읽던 선비로 거문고와 책을 버리고 시석(矢石)을 무릅쓴 것은 임금이 몽진 (蒙塵)하고 백성이 도탄(塗炭)에 빠짐을 보고, 싸워 머리를 잃을지라도 후회함이 없을 뿐인 데 금포(錦袍)를 다투는 무리들과 행동을 같이할 것이냐”하고 부윤(府尹)의 자리를 버리고 고향에 돌아와 안천에서 고기를 낚으며 세월을 보내다가 경오년 6월에 81세로 세상을 떠났 다. 묘는 홍동면 산정리 대사동 우편 기슭에 있고 묘표는 안동인 봉조하 김이양이 지었다.

이정휘(李廷暉): 이몽학의 반란을 물리친 공으로 청난원종공신이 되고 벼슬은 참판에 이르렀다.

이대춘(李大春): 자는 인백(仁伯)이요 호는 동원(東園)이라 하였다. 관직이 사직에 이 르렀을 때 임란이 일어나 이광윤과 같이 의병에 참가하였다. 금산작전을 하던 중 친상의 급보를 받고 돌아가 전사를 면하였다. 이몽학이 반란을 일으켰다는 소식을 듣고 군수 이익빈, 교위 박수일, 조존성 등과 의병을 일 으켜 홍주성 작전 에 참전하였다. 이몽학의 반란군을 격퇴한 공으로 정난원종공신에 기록되고 대제학 이조판서가 되었다

이효립(李孝立): 호는 장암(長巖)이다. 선조 20 년에 군기사 주부(軍器寺主簿)로 있다가 홍주 선영하에 돌아와 후진들을 지도하던 중 홍주목 홍가신의 격서 를 보고 달려와 이몽학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다. 맹부에 그의 공이 기록되고 통정대부가 되었다.

이시휘(李時暉): 자(字)는 회숙(晦叔)이며 이조참의(吏曹參議)를 지냈다.

이성지(李成枝):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냈다.

이지한(李志漢): 자(字)는 자성(子誠)이며 벼슬이 사재첨정(司宰僉正)이 에 이르렀다.

이유한(李惟漢): 자(字)는 여흠(汝欽)이며 호(號)는 초정(草亭)이고 시호(諡號)는 문효(文孝)다. 벼슬이 시직(侍直)에 이르렀다.

이진만(李鎭萬): 자(字)는 치정(致貞)이며 벼슬이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에 이르렀다.

이홍순(李弘淳): 자(字)는 사범(士範)이며 벼슬이 충훈부도사(忠勳府都事)에 이르렀다.

이노철(李魯轍): 자(字)는 성삼(省三)이며 호(號)는 범벽재(犯碧齋)이다. 벼슬이 의관(議官)에 이르렀다.

이현손(李顯孫): 호(護)는 삼청당(三靑堂)이며 벼슬이 호조참판(戶曹參判)에 이르렀다.

이효분(李孝芬): 벼슬이 장악원정(掌樂院正)에 이르렀다.

이예(李藝): 자(字)는 진남(振南)이며 호(號)는 정포(停圃)이고 벼슬이 목사(牧使)에 이르렀다.

이진(李珍): 자(字)는 천보(天輔)이며 호(號)는 준암(峻巖)이고 벼슬이 목사(牧使)에 이르렀다.

이흥무(李興武): 벼슬이 목사(牧使)에 이르렀다.

이회양(李懷陽): 자(字)는 포휘(布輝)이며 벼슬이 교서관(校書館)·교리(校理)에 이르렀다.

이향(李香): 자(字)는 화여(華汝)이며 벼슬이 형조참판(刑曹參判)에 이르렀다.

이희뉴(李希杻): 벼슬이 예빈시부정(禮賓寺副正)에 이르렀다.

이희일(李希逸): 자(字)는 시경(時卿)이며 벼슬이 훈련원첨정(訓練院僉正)에 이르렀다.

이희생(李希生): 벼슬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使)에 이르렀다.

이희목(李希睦): 벼슬이 주부(主簿)에 이르렀다.

이인남(李仁男): 벼슬이 동부승지(同副承旨)에 이르렀다.

이예남(李禮男): 벼슬이 부호군(副護軍)에 이르렀다.

이익립(李益立): 벼슬이 훈련원판관(訓練院判官)에 이르렀다.

이진립(李震立): 벼슬이 호조참의(戶曹參議)에 이르렀다.

이상고(李尙固): 벼슬이 부사과(副司果)에 이르렀다.

이영립(李英立): 벼슬이 공조참의(工曹參議)에 이르렀다.

이세양(李世陽): 벼슬이 공조참판(工曹參判)에 이르렀다.

이득양(李得陽): 벼슬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이원양(李元陽): 자(字)는 도원(道元)이며 벼슬이 선전관(宣傳官)에 이르렀다.

이담령(李聃齡): 벼슬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이유상(李有相): 벼슬이 부호군(副護軍)에 이르렀다.

이성(李晟): 벼슬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이우민(李禹民): 자(字)는 치윤(治允)이며 호(號)는 강의재(剛毅齋)이다. 벼슬이 직장(直長)에 이를렀다.

이계년(李桂年): 자(字)는 수경(壽卿)이며 판관(判官)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당시 순절하였으며 중종(33년)병조참의로 추증되었다.

 

 

[세거지]

 

충청남도 천원군 동면 광덕리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 지정리

경상북도 선산군 도개면 가산동

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천향동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법곡리

평안북도 박천군 박천읍 송덕동

평안북도 귀성군 동산면 용풍동

평안남도 중화군 천곡면 덕현리

함경남도 북천군 가회면 중리.

 

2000년 전국인구조사에 의하면 전국에 10,951가구에 34,756명이다.

 

 [ 관련 자료 ]
   청주이씨 등록 내용 수정 요청 - 희망의등대(llkyoung@hanmail.net)님이 파란 메일로 [2009년 5월 16일 (토) 01:50] 보내주신 자료입니다.
 


추가 및 수정 자료가 있으시면 정확한 내용(첨부 자료 포함)을 아래의 E-Mail 또는 FAX로 보내 주십시오... .

성씨정보 E-Mail  

 FAX : 050-5858-0248

라벨몰.kr - www.LabelMall.kr

BitMall.net 비트몰 네이버

오케스트라화일A4, 슈퍼화일A4, 악보화일, 노트용화일

오케스트라화일 B4, 연주용, Orchestra File, B4, 슈퍼화일 B4, 수퍼화일 B4, Super File B4, 메카라인
지티지 뮤직노트, A4. 연주용, 악보화일, 노트용화일, GTG
플러스화일, A4. 연주용, Plus File, 플러스파일, 악보화일, 노트용화일, 메카라인
뉴플러스화일, A4, New Plus File, 바인더형, 합창용, 메카라인
뮤직화일, A4. 합창용, 악보화일, 노트용화일, 메카라인
아이라벨, iLabel, www.아이라벨.com
폼텍라벨, Formtec, www.폼텍라벨.com
애니라벨, AnyLabel, www.애니라벨.com
라벨용지들의 종합 규격표 및 호환표
뉴멀티보드, New Multi Board, 뉴멀티클립보드, 메카라인 멀티보드, Multi Board, 멀티클립보드, 메카라인 밴드클립보드, Band Clip Board, 메카라인 소프트보드 101. Soft Board 101, 소프트보드, Soft Board, 메카라인 소프트보드 201. Soft Board 201, 소프트보드, Soft Board, 메카라인 소프트보드301가로 A3. Soft Board 301 H, 소프트보드, Soft Board, 메카라인 소프트보드301세로 A3. Soft Board 301 V, 소프트보드, Soft Board, 메카라인 모니터메모홀더, Monitor Memo Holder, 메카라인
오늘방문자
어제방문자
日최대방문자
전체방문자
[2008년 5월 11일 설치]

Flag Counter

:+: 성씨정보 :+: www.Surname.info :+: 써네임닷인포   
www.Surname.KR :+:
www.Surname.co.kr :+: 朝鮮大學校 ♡ 金勝鎬   
Fax : 050-5858-0248 * E-MAIL :
  

※ Npay - 플러스화일, 뉴플러스화일(리필가능), 뮤직화일, 멀티보드, 밴드클립보드, 이지클립보드, 아이라벨, 등등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