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조 김인궤(仁軌)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김은열(殷說) 
            후손으로 대장군(大將軍)을 지낸 김윤성(允成)의 아들이다.
 그는 고려(高麗)에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문하시중(文下侍中)을 거쳐 조현대부(朝顯大夫)에 
            올라 전법총랑(典法摠郞), 호군전객령(護軍典客令)을 지냈으며, 그의 
            후손 김육화(育和)가 고려(高麗) 때 은자광록대부(銀紫光祿大夫), 이부상서(吏部尙書), 
            좌복야(左僕야)를 지내고 상장군(上將軍)으로 경산군(慶山君)으로 봉해짐으로 
            후손들이 본관을 경산으로 하였다
 
 그러나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는 
            문과에 급제(及弟)한 김한(翰)을 시조로 기록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