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감 송복흥의 아들.
    1576년(선조 9)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주서 경성판관을 거쳐    1584년 종계변무사의 질정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귀국 후 호조 예조 공조의 정랑, 사재감 군자감의정을 
            역임했다.    1592년(선조 25) 동래부사로 재직중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 
            적군이 동래성에 육박하자 성안의 군사를 이끌고 항전했으나 성이 함락될 
            무렵에 조복을 갈아입고 단좌한 채 적병에게 살해되었다.    그의 출절에 
            탄복한 적장은 그의 시체를 동문 밖에 장사하고 시를 지어 제사를 지냈다.
   
              이조판서 찬성에 추증,     동래의 낙안서원,    개성의 숭절서원,    청주의 신항서원,  
              고부의 정충사에 제향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