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변군은 영주(迎州)와 무주(撫州)의 합명(合名)이다.
 
 영주(迎州)는  
        고려 때의 밀운군(密雲郡)이었다.
 670년(광종 21) 연주(延州)로 고쳐 지주사(知州事)를 두었으며
 995년(성종 14)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
 공민왕(恭愍王) 때 연산부로 승격되었다.
 1413년(조선 태종 13) 도호부로 개편되었다.
 
 무주(撫州)는  고려의 운남군(雲南郡)이었다.
 995년 무주방어사라 하였다가 공민왕 때 태주(泰州)로 이속되었고,
 1391년(공양왕 3) 감무(監務)를 둔 후
 태종(太宗) 때 무산현(撫山縣)이 되었다.
 1419년(세종 11) 연산과 무산을 합하여 영변으로 개칭하였다.
 세조(世祖) 때 연주(延州)를 나누어 운산군(雲山郡)에 속하게 하고, 그후 여러 변천을 거쳐
 1895년 영변군(寧邊郡)으로 개칭되었다.
 |   |